안녕하세요! 지식박스입니다.
AI 자동답변에 주의하세요! 제가 아는 선에서 최선을 다해 안내드릴게요.
질문자님처럼 가족회사 근무 후 육아휴직을 받은 경우에는
실제 근로자였다는 점을 입증하는 게 핵심입니다.
아래 항목들을 참고하셔서 가능한 한 많이 준비하시는 게 좋습니다.
근로자 입증을 위한 주요 서류
근로계약서
작성일자와 서명 포함, 통상임금 내용도 확인
급여 이체 내역
사적 계좌와 명확히 구분된 법인계좌에서 정기적으로 입금된 급여내역
4대보험 가입 이력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가입증명 확인서
업무 관련 증빙
본인 명의로 발송된 메일/팩스/견적서
거래처와의 카톡, 문자 내역
납품일지나 회계정리파일 등 본인이 만든 파일
출근부, 업무일지 (있다면 매우 유리)
출퇴근 입증자료
주차장 입출차 기록 (관리실 협조 요청)
차량 블랙박스, CCTV 영상
지문인식·카드 리더기 기록 (해당 시)
제3자의 진술서
거래처, 납품기사, 인근 점포 사장님 등 객관적인 외부인의 진술서 (출근 모습, 근무내용 등)
주의할 점
가족회사일 경우 특히 허위 근로로 의심받기 쉬우므로,
단순 서류 외에도 일관된 근로 행위가 실제 있었음을 보여주는 게 중요합니다.
출퇴근 기록이 없어도, 다른 증빙이 충분하면 인정받는 사례도 많습니다.
반대로 급여만 받았고 실제 근로는 없었다면, 부정수급으로 전액 환수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답변 채택 부탁드립니다
⬇️ 정리 잘 된 블로그가 있어 공유드릴게요. 참고해보셔도 좋아요!